일교차가 크고 기온이 낮아지며 실내 활동이 늘어나는 가을과 겨울에는 실내 환경이 건강의 척도가 된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온도 못지않게 우리의 건강과 직결되는 습도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생각보다 유념하지 않으시는 분들이 많으십니다. 가을, 겨울은 평소보다 건조한 계절인데 오늘은 겨울철 실내 습도 관리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겨울철 실내 적정 습도
습도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의 양이나 비율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한반도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가을에는 맑고 건조하며, 겨울에는 한랭 건조한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춥고 건조합니다. 이 때문에 가을, 겨울에 난방을 하면 실내는 더욱 건조해지며 이는 습도가 낮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습도가 낮으면 코를 포함한 기도와 기관지가 건조해지고 점액 분비가 감소하게 됩니다.
바이러스가 몸에 들어오면 점액이 방패 역할을 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감기나 독감에 대한 면역력이 떨어지게 되며 게다가 건조한 실내 환경은 천식이나 만성폐쇄성폐질환 등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게 더욱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적정 습도는 온도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작용합니다. 실내 최적온도 18~21℃인 겨울에는 습도 40%, 실내 최적온도 19~23℃인 가을에는 습도 50%가 적합하다고 합니다.
겨울철 실내 습도 조절하는 생활습관
날씨가 추워지면 건조함을 방지하기 위해 가습기를 켜는 가족이 많습니다. 이때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습도가 너무 높아져 호흡기 감염의 위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난방기구의 사용으로 인해 실내공간이 매우 건조해지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환기를 통해 외부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것이 습도와 온도 조절에 도움이 됩니다. 하루에 3번, 최소 10분 이상 방송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가습기가 없다면 건조한 날 건조기를 사용하기보다는 실내에서 자연 건조해 보세요.
젖은 빨래나 마른 수건을 깨끗한 물에 담갔다가 말리는 것만으로도 습도가 10% 정도 높아진다고 합니다. 가습기를 사용한다면 위생에 각별히 주의해야 하고 가습기의 물탱크는 매일 청소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사용 후 탱크에 깨끗한 물을 채우고 3일마다 브러시로 청소하는 등 정기적으로 관리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철 실내 습도 조절해주는 아이템
1) 솔방울
솔방울을 깨끗이 씻은 후, 끓는 물에 15~20분 정도 삶으면 천연 보습 효과가 있습니다. 접시나 쟁반에 솔방울과 물을 올려놓을 수 있으며 물이 모두 증발하면 물을 다시 갈아주도록 합니다.
2) 숯
숯은 습도 조절에 좋습니다. 숯은 평소에는 수분을 흡수하는 소재이지만, 건조한 환경에서는 수분을 방출해 습도를 높이는 물질이며 물 한 그릇에 넣으면 효과가 두 배가됩니다.
3) 습도조절 식물 키우기
식물을 키우는 것도 좋습니다. 식물은 잎에서 초당 5~100μg/m2의 수분을 방출한다고 합니다. 특히 수경식물은 습도 조절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관음죽, 장미나물, 행복나무 등 어떤 형태로든 자랄 수 있는 덩굴식물, 사랑사슬, 아이비 등도 습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식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핫팩 버리는 방법 및 재사용 방법 (0) | 2024.01.25 |
---|---|
일산화탄소 중독 증상 및 응급처치 (0) | 2024.01.10 |
부정적인 사람 특징 알아보기 (0) | 2023.11.27 |
전기차 장점 단점 간단하게 살펴보기 (0) | 2023.11.26 |
오래된 콜라 활용법 알아보기 (0) | 2023.11.16 |